■ 춘계학술회의
□ 일자: 2021년 4월 24일(토) 13:00~18:00
□ 장소: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소강당
□ 주최: 사단법인 중앙아시아학회·국립중앙박물관
□ 후원: 포스코·한국고등교육재단

□ 학회 내용
● 러시아 투바지역 흉노 조사의 최근 연구 동향
발표: 이우섭(국립청주박물관)
토론: 김종일(서울대학교)
● 일본 가가미진자(鏡神社) 소장 고려 <수월관음도>의 조성배경 一考
발표: 조성금(한국예술종합학교)
토론: 김장구(동국대학교)
● 몽골-포스트 몽골 시기 중앙아시아와 킵차크 초원의 투르크 정체성
발표: 이주엽(캐나다 토론토대학교)
토론: 이주연(서울대학교)
● 아팍 호자(Afaq Kwajah)의 河湟여행-17C후반, 淸-티베트 접경의 교역과 수피즘-
발표: 윤성제(서울대학교)
토론: 김성수(서울과학기술대학교)
● 19세기 초중반 부하라-히바 관계
발표: 이광태(한국외국어대학교)
토론: 김석환(서울대학교)
● 독립 후 키르기스스탄의 초지 공유제 실험의 성과와 전망 : 파미르 고원 사르 모굴(Sary Mogul) 지역 현지조사를 중심으로
발표: 공원국(중국 푸단대학)
토론: 김우진(서울대학교)

■ 국제학술회의 유라시아 고대 네트워크 匈奴와 漢
□ 일자: 2021년 4월 30일(금) 13:00~18:00
□ 장소: 부산대학교 장전캠퍼스 10·16 기념관
□ 주최: 사단법인 중앙아시아학회, 부산대학교 고고학과 BK21 교육연구팀
□ 후원: NRF 한국연구재단·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

□ 학회 내용
● 흉노고고학의 연구성과와 과제
발표: 윤형원(국립부여박물관)
토론: 오세연(국립김해박물관)
● 흉노 유적과 유물의 최신 연구성과 -용성을 중심으로-
발표: Iderkhangai(몽골 울란바토르시립대학)
토론: 이성주(경북대학교)
● 흉노와 한의 전쟁
발표: 김병준(서울대학교)
토론: 정재훈(경상대학교)
● 흉노의 토기 -남흉노 토기를 중심으로-
발표: 김지현(중국 山西대학)
토론: 정인성(영남대학교)
● 흉노 동복에 대한 검토 -특징과 변천을 중심으로-
발표: 이해련(부산광역시)
토론: 송원영(대성동박물관)
● 흉노의 장신구
발표: Maria Kudinova(러시아 사회과학원 노보시베리스크 분원)
토론: 심현철(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)
● 흉노 마차의 특징과 성격
발표: 이현우(부산대학교), 강나리(부산대학교박물관)
토론: 이상율(부경대학교박물관)
● 한의 동물문과 흉노의 동물문
발표: 大谷育惠(일본 金澤大學)
토론: 이우섭(국립청주박물관)
● 흉노 칠기(이배): 생산, 유통 그리고 용도
발표: 양은경(부산대학교)
토론: 조윤재(고려대학교)
● 출토 유물과 명문으로 본 흉노 국가의 형성과 발전
발표: 강인욱(경희대학교)
토론: 김재윤(부산대학교)


■ 2021년 (사)중앙아시아학회 +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HK+사업단 하계 공동학술회의
□ 일자: 2021년 8월 21일(토) 13:00~18:00
□ 장소: 동국대학교 다향관
□ 주최: 사단법인 중앙아시아학회 ·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HK+사업단
□ 후원: 한국연구재단 · 국립중앙박물관

□ 학회 내용
● 대몽골국 초기 몽골고원의 유통 물품과 유목경제의 실상
발표: 김장구(동국대학교)
토론: 류병재(단국대학교)
● 몽골제국의 선물경제
발표: 설배환(전남대학교)
토론: 최윤정(경북대학교)
● 몽골제국 시기 티베트 승려에 대한 보시 물품과 운송 문제
발표: 최소영(서울대학교)
토론: 조원희(한국학중앙연구원)
● 몽골(원)제국 시기 고려로 들어온 외국의 직물들 - 세 가지 주요 장면
발표: 이강한(한국학중앙연구원)
토론: 김윤정(서울역사편찬원)
● 15~16세기 몽골 · 명 경제교류와 몽골 사회의 변화
발표: 조원(부산대학교)
토론: 고명수(충남대학교)
● 조선의 몽골 인식과 그 흔적 - 시맨틱 큐레이션
발표: 최원재(동국대학교)
토론: 체렝도르지(몽골국립대학교)


■ 2021년 국외교류특별전 ‘북위-선비 탁발부의 발자취’ 연계 학술심포지엄: 백제와 북위
□ 일자: 2021년 10월 15일(금) 09:30~17:40
□ 장소: 국립부여박물관 사비마루 강당
□ 주최: 국립부여박물관, 한성백제박물관, 백제학회, 사단법인 중앙아시아학회

□ 학회 내용
● 백제의 국제성
발표: 노중국(계명대학교)
● 알선동(알仙洞), 성락(盛樂), 평성(平城)에서 낙양(洛陽)까지- 탁발선비의 이주와 발전 과정 -
발표: 한성춘(중국 다퉁시박물관)
● 북위(北魏) 고고자료와 선비(鮮卑)의 한화(漢化)-5세기의 도성(都城)과 묘제(墓制) 변용 -
발표: 무카이 유스케(일본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)
● 북위 평성시대 동이계 이주민
발표: 윤용구(경북대학교)
토론: 최진열(한국전통문화대학교)
● 북위 고분벽화의 형성과 변천
발표: 박아림(숙명여자대학교)
토론: 주경미(충남대학교)
● 북위의 불교조각에 나타난 불교 고사(故事)
발표: 하정민(서울대학교)
토론: 소현숙(덕성여자대학교)
● 북위 낙양 영녕사(永寧寺)의 “배영(背影)” 소상 및 관련 문제
발표: 리스스(중국 뤄양박물관)
토론: 권소현(국립부여박물관)
● 북위(北魏)-선비(鮮卑) 탁발부(拓跋部)의 동물문양
발표: S.스베틀라나(한국전통문화대학교)
토론: 이우섭(국립청주박물관)
● 몽골의 흉노와 선비유적 발굴조사 성과
발표: G.에렉젠(몽골과학아카데미 고고학연구소) & Ts.오드바타르(몽골국립박물관 고고인류학실)
토론: 정석배(한국전통문화대학교)


■추계학술회의
□ 일자: 2021년 11월 27일(토) 13:30~17:30
□ 장소: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제1강의실
□ 주최: 사단법인 중앙아시아학회, 국립중앙박물관
□ 후원: POSCO, KFAS(한국고등교육재단)

□ 학회 내용
● 선사 미술 속의 에로틱 장면에 대하여
발표: 장석호(동북아역사재단 명예연구위원)
토론: 신대곤(前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장)
● 東魏 · 北齊 수도 업의 多文化 공존 ― 漢文化 · 胡俗 · 西域文化 공존과 영향 ―
발표: 최진열(한국전통문화대학교)
토론: 박아림(숙명여자대학교)
● 다포딜 로드(Daffodil Road) ― 중앙아시아-한국 ―
발표: 최원재(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)
토론: 조성금(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)
● Some Chinese Words Misunderstood by the Jungar Tuvan Informants
발표: 이용성(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)
토론: 김선자(연세대학교 중국연구원)